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SIA PACIFIC SATELLITE INC
우주와 인간을 향한 끝없는 도전, AP위성

보도자료

전자신문 2014. 5. 28 기사 [창조경제포럼]

Manager 2014-05-29 조회수 2,754

[창조경제포럼]주제발표-류장수 회장 "우주 강소기업 육성해야"

창조경제포럼 5월 조찬모임이 지난 27일 서울 반포동 팔래스 호텔에서 열렸다. 류장수 우주기술진흥협회장이 ‘우주산업 육성방향과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창조경제포럼 5월 조찬모임이 지난 27일 서울 반포동 팔래스 호텔에서 열렸다. 류장수 우주기술진흥협회장이 ‘우주산업 육성방향과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우주를 선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다.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주개발 신흥국이 꾸준히 늘고 있다.

최첨단 우주 기술은 우주 직접 개발은 물론이고 응용기술을 활용한 산업계 진출로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아직 초기 수준이다. 선진국에 비해 예산이 부족한 것은 물론이고 민간 참여에도 한계가 있다.

27일 창조경제포럼 주제발표자로 나선 류장수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은 “우주 분야가 미지의 개척 영역인 만큼 정부의 투자 확대와 함께 우주 분야 강소기업 육성 전략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주 신흥국 지속 증가

우주 개발은 미국과 옛 소련의 경쟁에서 시작됐다. 그 당시는 산업보다는 우주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처럼 우주기술과 국방기술을 연계한 것도 많았다.

류 회장은 “옛 소련이 붕괴하면서 세계 우주 개발에 변화가 생겼다”면서 “양강 시대를 지나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이 우주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고 말했다.

세계 각국이 참여하면서 세계 국가우주예산 규모는 큰 폭으로 성장했다. 지난 2012년 전체 국가의 우주예산을 합하면 729억달러(약 75조원)에 이른다. 세부적으로는 미국과 유럽의 우주 예산은 정체 또는 축소하지만 우주 신흥국의 지속 등장으로 전체 예산이 증가하고 있다.

류 회장은 “현재 우주개발에 나선 국가는 지난 2006년 42개에서 2012년 57개국으로 늘었다”면서 “벤처기업이 발사체 시장에 뛰어들고 우주 관광 시대가 오는 등 우주 개발 형태도 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주 신흥국의 증가는 우리나라가 우주 선진국이 되면 상당한 세계 시장이 있다는 의미”라며 “우리가 강점을 가진 IT와 정밀 가공기술 등을 융합하면 우주 신흥국의 관심이 높은 통신위성과 지상기기 등의 분야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한국 우주개발 현 주소는
우리나라도 지난 20년간 연평균 1500억원씩 총 3조원의 예산을 우주개발 분야에 투자했다. 무궁화 위성 발사와 나로호 발사 성공 등 나름의 성과도 거뒀다.


하지만 우주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는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20년간 투입한 예산은 프랑스가 지난 2012년 1년 동안 쓴 우주 예산 27억달러(약 2조7621억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프랑스 국내총생산(GDP)이 우리나라의 갑절 수준임을 감안해도 격차는 매우 크다.

류 회장은 “올해 우리나라 우주 예산이 5000억원을 돌파하면서 국민 1인당 1만원 정도 부담하는 수준이 됐다”며 “최소한 지금보다 두세 배는 예산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차세대 중형위성과 통신위성 개발 등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면서 “연간 3000억달러 규모 세계 우주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율이 현재 0.5% 수준인데 앞으로 엄청난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우주 기업 육성 병행해야

류 회장은 우주 분야 강소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 위주로 성장해온 우리 경제가 정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이를 돌파하기 위해서도 강소기업의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류 회장은 “독일과 일본이 매출 100억~3000억원 사이의 강소기업이 많은 것처럼 우리도 이런 강소기업이 경제발전에 필수”라며 “앞으로는 부가가치가 높은 소량 다품종 시장을 노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주 분야를 봐도 우주기술에 사용되는 베어링은 일반 베어링보다 1만배는 부가가치가 높다”면서 “기술집약적인 품목을 만들 수 있는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육성방향으로는 중형 관측위성과 통신위성 개발에 착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 wingh1@etnews.com